![](https://blog.kakaocdn.net/dn/ZplP1/btrrAeEa85X/cKZiq40VJ4jZ3WQbIUl8Sk/img.jpg)
‘뮌헨, 전쟁의 문턱(Munich, The Edge of War).’
엊저녁에 본 넷플릭스 2022년 영화다. 2차 세계대전 발발 전, 이 전쟁을 막으려는 두 젊은 외교관들의 노력을 그린 영화다.
전쟁이라는 말이 제목에 들어가지만, 전쟁 장면은 없다.
다만 영국과 독일의 두 젊은 청년외교관이 목숨을 걸고 반 히틀러, 반 나치즘 투쟁을 벌이는 게 전쟁 그 자체다.
![](https://blog.kakaocdn.net/dn/lmBj7/btrrxXvX0m4/kPYtaoiubX6NU23x1gZpUk/img.jpg)
영화는 물론 픽션이 가미된 것이지만, 독일 청년외교관 파울이 히틀러를 제거할 수 있었을 결정적인 순간은 손에 땀을 쥐게한다.
하기야 한편으로 히틀러가 암살되고 그러면 2차 세계대전은 없었을 것이라는 아쉬움 속의 역사적 가정,
그런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생각을 깨닫게 하기도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qrTSp/btrrwe5MHf7/H14QiTs8NxZ9WLOhap3VXk/img.jpg)
영화에서는 히틀러와의 굴욕적인 뮌헨협약으로 역사에 지울 수 없는 과오를 남긴 레니 체임벌린을 다시 소환하고 있다.
그런 체임벌린에게 히틀러와의 협정을 거부하라고 종용하는 영국 청년외교관 레가트. 물론 이 또한 픽션을 가미한 것이지만,
영화 내용대로 만일 체임벌린이 히틀러와의 협정을 거부하고 그 즉시 프랑스와 합세해 히틀러를 응징했더라면 세계의 역사는 오늘과 딴판일 것이다.
하지만 이 또한 역사의 가정일 뿐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qshB8/btrrpnDbpDU/3uup4g86kBqANQDW1QnmFk/img.jpg)
이 영화가 주는 메시지는 좀 상투적인 것이긴 하다. 말하자면 평화타령에 대한 강한 경고다.
결국 2차대전의 불씨가 된, 체임벌린과 히틀러가 서명해 주고받은 평화협정에서 보듯,
전쟁을 두려워하는, 말로만 부르짖는 평화구호는 허황된 것이며 아무런 쓸모가 없다는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Gb6V6/btrrwedEfr4/1vDACOvC2oZxk6lKGYi3CK/img.jpg)
영화에서 접하는 이런 메시지는 우리 나라에게 좀 익숙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9. 19남북군사합의’도 그렇지만, 핵을 갖고 시시때때로 장난질을 일삼고 있는 북한을 대하는 우리들의 처지에 견주면 그렇다는 것이다.
애시당초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시작하려 했을 때 미국과 힘을 합쳐 그에 강력하게 대처했더라면,
오늘처럼 북한에 질질 끌려가고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에서다.
윈스턴 처칠이 히틀러와 체임벌린 뮌헨협약에 분노를 표하며 남겼던 유명한 경구를 되새겨 보는 것도,
이 영화가 주는 메시지에 의미를 더하는 한 요소가 될 것 같다.
“…국가의 안전, 동포의 생명과 자유가 걸린 문제에서 최후의 수단을 쓰지 않으면 안 될 때가 오면,
그런 확신이 있을 때는, 무력을 사용하는 일을 피하면 안 된다.
그것은 정당하고 절실한 문제다. 싸우지 않을 수 없을 때는, 싸워야 한다.”
*원작: Robert Harris 소설 ‘Munich, The Edge of War’
*배역: 레니 체임벌린(Jeremy Irons)
휴 레가트(George MacKay)
파울 폰 하르트만(Jannis NIewohner)
아돌프 히틀러(Ulrich Mattes)
'collec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 건평 港의 천상병 詩人 (0) | 2022.01.30 |
---|---|
추억의 클래식카메라, Diax IIa (1) | 2022.01.28 |
CDs (0) | 2022.01.16 |
'돈 룩 업(Don't Look Up)'이라는 영화 (2) | 2022.01.11 |
茶山의 詩 - '어린 딸이 그리워(憶幼女)' (0) | 2022.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