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혁명당' 사건 얘기들
본문 바로가기
misce.

'통일혁명당' 사건 얘기들

by stingo 2021. 4. 23.

청와대 방역기획관 기모란의 아버지 기세춘이 통일혁명당 사건관련자였던 것을 기화로 반세기도 훨씬 지난 통일혁명당 사건과 그리고 한편으로 언뜻 되살아나고 있음직한 그 불씨가 다시 회자되고 있다.

 

                                           기모란 방역관 아버지 기세춘(경향신문 사진)

 

이 사건과 관련하여 김종태, 김질락, 이문규 주모자 3명은 사형 처벌을 받았고 주지하다시피 신영복, 박성준, 기세춘 등은 상당 기간 옥고를 치르고 나왔고 그들이 어떤 생을 살고 있었던지 다들 잘 안다.

 

                                                      1968년 11월 '통혁당' 사건 공판 장면

 

사건 10여년 후 사형 당한 주범들의 가족들 뒷 얘기에 관심을 갖고 취재를 한 적이 있었다. 그러다 결국 중간에 포기를 했다. 그런 시절이었기 때문이다. 예전의 취재 노트를 뒤적거렸더니 슬픈 얘기들이 많이 적혀있다. 한 주범의 아내를 우연히 만난 적이 있다.

 

 

 

남편이 처형된 후 그 아내 분은 당국의 주선으로 취업을 한다. 헌데 취업한 곳이 아이러니컬하게도 남편의 수사를 담당했던 정보당국이다. 일본어를 잘 하는 그 아내 분은 상당 기간 그곳에서 일본어 관련 일을 했다. 그 당시 그 분을 직접은 아니지만 뵈었다.

 

나는 그 분을 당시 알지 못했다. 정보당국의 어느 방에서 다른 사람을 만나고 있었는데, 어떤 여자 분이 문을 열고 들어왔다. 내가 만나고있는 사람을 보더니, 갑자기 그 사람을 노려보면서 그 자리에 멈췄다. 그리고는 몸을 떨더니, 아무 말 없이 눈물을 흘리기 시작했다.

 

그 표정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 나중에 알고 봤더니, 내가 만나고 있던 그 사람이 통일혁명당 사건과 관련하여 그 분 남편과 자신을 취조했던 당사자였던 것이다. 그 얘기를 듣고 그 아내 분을 만나려했으나, 이뤄지지 않았다. 주변의 얘기들을 많이 들었다. 책 한 권은 됨직한 많은 얘기들이 나왔다. 하지만 그것을 쓸 수는 없었다. 지금은 8순에 접어들었을 그 분은 지금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재판당시 이문규 모습

 

다른 주범 한 명은 내 고향 마산과 인연이 있다. 검거 마지막 피신처가 마산의 한 언론사였기 때문이다. 일찍 세상을 뜬, 대학 당시의 절친한 한 친구가 그 신문사 사주의 인척이었기에 그 신문사에 들어갈 수 있었지만, 점점 다가오는 검거의 손길을 피할 수가 없었다. 그 사람 아내도 대학친구 동생의 주선으로 마산의 한 여자고등학교에서 교사생활을 하고 있었다.

 

                                                                      김질락

 

사형선고를 받고 처형된 후 그 아내는 서대문형무소에서 남편의 시신을 인수한다. 그리고는 시신을 깨끗하게 씻어 여러 겹으로 철저하게 감싼 뒤 서울역에서 기차를 탄다. 그 사람의 고향까지 데려갈 요량으로 그렇게 한 것이다.

그 아내 분은 남편이 처형된 후 남편과 관련된 책을 낸다. 책 서문을 그 딸이 썼다. 한 5년 전까지 목동에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은 확인할 수가 있었다. 서문을 썼던 그 딸의 고등학교 시절 담임이 나의 고동학교 동기였다는 사실도 취재과정에서 알았다.

 

이 사람의 마산과 관련한 얘기는 2017년 출간한 나의 고향관련 졸저에 일부분 적혀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