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life-photo story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09

20여년 전… 24년 전에 내가 이런 글도 썼구나. 인터넷에 대해 뭘 안다고 이런 글을 썼을까. 가만 생각해보니 이 글을 쓰게된 계기가 떠올려진다. 지금은 고인이 되신 이어령 선생이 텔레비전에 나와 인터넷에 관해 마치 그게 요술방망이인 것처럼 장황하게 설명하는 것을 보면서 딴에 그게 아닌데 하는 생각으로 써 본 것인데, 마침 이 글이 프레스센터 회보에 실린 것이다. 20여년 전이 지난 지금에사 보니 부끄럽기 짝이 없다. 20여년 전에 프레스센터에서 내가 저렇게 놀고있었구나. 저 때 쯤이면 재취업이라도 해 호구지책을 강구해야할 시점이었을 것인데, 그걸 마다하고 저러구 놀았으니 오늘 이 모양 이 꼴이 아닌가 싶다. 문화일보에 계셨던 김지용 회장을 비롯한 여러 분들은 지금 어디서 무엇을 하고있을까. 문득 그리운 생각이 든다.. 2024. 2. 7.
건망증, 건망증, 건망증... 집 현관을 나서려는데, 운동화 한 쪽 신발끈이 풀려져있었다. 엘리베이터 앞에서 엉거주춤한 상태로 그걸 짜매려다 잘못 건드려 끈들이 서로 엉켜져버렸다. 그냥 서서 할 일이 아니다. 다시 집으로 들어가 현관마루에 털썩 주저앉아 끈을 차분하게 정리하고 단단히 다시 맸다. 그리고 다시 현관을 나섰다.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데 또 아차, 하는 생각이 들었다. 커피가 든 보온병을 식탁에 두고 온 것이다. 오늘 점심양식인 바질빵과 함께 마실 커피다. 또 다시 집으로 들어가 보온병을 챙겼다. 그리고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와 능곡역까지 걸어가고 있었다. 건널목에서 파란불 신호를 기다리던 중에 뭔가 가슴 속이 미진한 느낌이 들었다. 뭐지? 그랬다. 오늘 분 심장 약을 먹지않은 것이다. 그걸 먹으려 다시 집으로 간다? 말이 .. 2024. 1. 30.
영국 BBC에 뉴스가 없던, 1930년 4월 18일 24시간 뉴스 사이클이 있는 오늘날에는 뉴스가 없는 날이 거의 불가능해 보이지만, 1930년 4월 18일 저녁, BBC 뉴스는 방송국 데스크에 보도할 만한 뉴스가 전혀 없다고 보도했습니다. 오후 8시 45분에 15분간 진행되는 정규 라디오 뉴스 방송 시간이 되자 아나운서는 "뉴스가 없습니다"라고 짧게 말했을 뿐이었습니다. 나머지 15분은 피아노 연주로 채워졌고, 방송국은 다시 런던 퀸즈홀에서 열린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라이브 콘서트로 돌아갔습니다. 지금은 필리핀에서 발생한 태풍 등을 비롯해 그날 전 세계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실시간으로 쉽게 알 수 있지만, 1930년대에는 통신이 지금처럼 빠르지 않았고 언론인들은 유선 서비스와 정부 발표에 크게 의존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날 하루 .. 2024. 1. 29.
안정효. 박영한의 월남전 소설 월남전 전투에서 총상을 입은 처지에 관해 뭘 좀 쓸게 있는데, 내가 그 상황과 느낌, 주변 분위기를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책을 보며 머리를 굴려보면 어떨까 싶어 나름으로 골라본 게 과 이다. 이 책을 오늘 아침 동네 도서관에서 찾아 보았다. 주마간산 격으로 필요한 부분들을 골라 읽어가는데 시간이 꽤 걸린다. 그러며 봐 나가는데 책들이 재미가 있다. 그래서 나도 모르게 그냥 책에 빨려들었다고나 할까, 아침 10시 경에 책을 보기 시작한 게 조금 전에 책을 닫았다. 물론 흡족한 정도는 아니지만 내가 필요한 부분은 골라서 담았다. 이 책들은 예전에 얘기들을 많이 들어 잘 알고있었지만 그저 그런 것이려니 하며 보지는 않았다. 그러니 오늘 대충 본 것이긴 하지만, 어쨌든 이 책들은 읽은 것이나 마찬가지로 치부하.. 2024. 1. 27.
“북한은 한국을 공격할 것인가(Will North Korea Attack)?” Will North Korea Attack? 미국의 뉴욕타임즈는 오늘 자 아침 브리핑에서 “북한은 한국을 공격할 것인가?” 제하의 기사를 통해 북한의 남침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아래는 기사 전문입니다. 북한의 치명적인 군사 행동 징후를 주시하면서 미국 관리들은 북한의 지도자 김정은이 공개적인 적대 정책으로 전환한 후 앞으로 몇 달 안에 한국에 대해 어떤 형태의 치명적인 군사 행동을 취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관리들은 김 위원장의 최근 성명이 이전 성명보다 더 공격적이어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평가했지만, 미국 기관들은 북한이 전투나 대규모 전쟁을 준비하고 있다는 구체적인 징후를 감지하지 못했습니다. 미국 관리들은 김 위원장이 2010년 북한이 남한 섬(연평도)을 포격했을 때와 같이 급격한 확전을 .. 2024. 1. 26.
아산병원 유은실 교수의 죽음에 관한 어떤 강의 오늘 종로 옥인동 ‘북성재’에서 유은실 아산병원 교수의 죽음에 관한 말씀을 들었습니다. 강의는 題하여 ‘삶과 죽음(의) 이해’ 입니다. 죽음, 좀 더 구체적으로는 죽음은 어떤 것이며, 죽으면 어떻게 될까 등 죽음 후의 세계 등에 관해 연구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서울대 병원 내과의사 출신의 정현채 박사와 이화여대 종교학과 최준식 명예교수 등이 적잖은 연구를 통해 죽음에 관한 얘기를 많이 들려주고 있습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든 죽는 것이지만, 언제 죽으며 죽은 후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도무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이 분야에 관심이 많은 건 당연하다할 것입니다. 문제는 죽음에 대한 정의는 어느 정도 확립이 돼있습니다만, 인간은 죽은 후 어떻게 될까하는 것인데, 그래서 이른바 죽음학이라는 것이 생겨냤고.. 2024.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