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iens(사람)'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본문 바로가기

sapiens(사람)194

근 60년 만에 만난 중학교 친구 “나는 부활이고 생명이다” 이런 ID를 쓰는 사람이 오늘 아침 일찍 나에게 카톡메시지를 보내왔다. 메시지는 ”마산중학교16회?“ 단 이 내용 뿐인데, 나는 누군지 모르겠다. 프로필 사진이 좀 요상하다. 눈밭인가에 십자가 형태로 누워있는, 세상을 달관한 표정의 사진이다. 나는 이 사람이 마산중학교16회냐고 묻고있으니, 그 학교 동기쯤 될 것이고, ID로 미루어 기독교신자로구나 생각했다. 그래도 궁금했기에 나는 “누구세요?“라고 물었다. 이 사람의 정체를 아는데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조금 후 메시지가 왔는데, 놀랍게도 이 사람은 옛날 중학교를 함께 다녔고 같은 동네에 살던 옛동무 박상호였던 것인데, 전화번호가 적혀 있었다. 그렇게 해서 이 친구와 정확하게 58년 만에 만난 것이다. 이 친구는 중학교 때.. 2024. 11. 17.
106세 흑인노예 캐스비(W. Casey)와 증손녀 윌리엄 캐스비(William Casey)라는 미국 흑인은 106세이던 1963년까지도 노예였습니다. 1857년에 태어난 캐스비는 1970년까지 살았습니다. 그러니까 113살로 한많은 인생을 접었던 것이지요. ​ 캐스비는 106세 때이든 1963년 증손녀를 봅니다. 아래 사진은 캐스비가 증손녀인 체리 스탬스 맥크레이(Cherri Stamps McCray)를 안고 찍은 것으로, 이 사진을 찍은 사진작가는 리처드 아베돈(Richard Avedon)이었습니다. ​ 캐스비의 이 증손녀는 현재 생존해 있으며, 그녀는 증조부인 캐스비를 잘 기억하고 있다고 합니다. 캐스비는 사진을 찍은 증손녀 뿐 아니라 증손자 등 후손들이 많습니다. ​ 캐스비가 노예의 신분으로 증손녀와 함께 찍은 이 사진은, 미국의 노예제도가 196.. 2024. 11. 4.
‘뽀빠이‘의 모델, 프랭크 록키 피겔(Frank Rocky Figel) 우리나라에서는 이상용 씨가 그의 대명사로 유명해진 ‘뽀빠이(Popeye)’의 원래 모델은 프랭크 ‘록키’ 피겔(Frank ‘Rocky’ Fidel)이라는 미 해군 출신의 은퇴한 선원이었습니다. 1868년 1월 27일 폴란드에서 태어난 그는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하여 1887년 미 해군에 입대했습니다. ‘뽀빠이’ 캐릭터를 창안한 엘지 크리슬러 시거(Elsie Crisler Segar)가 그를 만났을 때, 그는 일리노이 주 체스터 시에 있는 비부쉬(Wiebusch)의 선술집에서 청소와 매장내 질서 유지를 위해 일하고 있던 은퇴한 선원이었습니다. 그는 항상 싸움을 일삼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그로 인한 것이었는지 기형적인 눈(팝아이;Pop-eye)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의 별명이 뽀빠이가 된 것입니.. 2024. 10. 25.
원로성우 김세원, 그리고 ‘밤의 플랫폼‘ 김세원, 이 분 이름 앞에도 이제는 ‘원로성우’라는 접두어가 붙는다. 1945년 생이니 이제 8순에 접어든 나이, 예전 그 아리따운 모습을 돌이켜보니 새삼 인생의 무상함을 느낀다. 1970년대 매일 밤 10시 넘어 나오던 동아방송 ’밤의 플랫폼‘으로 그 시절 저마다들의 밤의 외로움을 달래주던 그 촉촉한 목소리는 그러나 아직도 여전하다. 그로써 황금연못의 원숙한 아름다움을 지금도 구가하는 현역이 아닌가 싶다. 나는 언젠가 때가 되면 이 분에게 하나 물어보고 싶은 게 있었다. 이즈음이 그 시점이었으면 좋겠다. 나이도 연만하셨고, 그러니 마음에 남은 상처도 녹았거나 아니면 녹일 수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다. 나는 아마 누구 누구를 아세요? 하고 물을 것인데, 그 첫 반응을 보고 나는 다음 말을 가다듬을 필요.. 2024. 10. 4.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이 끊임없는 거짓말은 사람들이 거짓말을 믿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아무도 더 이상 아무것도 믿지 않게 만드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더 이상 진실과 거짓을 구분할 수 없는 국민들은 옳고 그름을 구분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사고하고 판단하는 힘을 박탈당한 그러한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게 거짓말의 지배를 완전히 받게 됩니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그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습니다.” - Hannah Arendt (1906-1975) 오늘 아침, 한나 아렌트와 관련해 엮여진 에피소드 하나. 페이스북 친구 한 분이 독일 마르부르크(Marburg) 대학을 갔다 온 얘기를 하면서, 1980년대에 이 대학에 유학했다고 하면서 사진을 올렸다. 마르부르크, 마르부르크하고 기억을 더듬으니 한 사람이 떠올랐다. 맞다. .. 2024. 9. 30.
아내의 ‘花樣年華‘ 마누라, 잘 지내는 여고동창들과 어제 용평으로 놀러가서는 오늘 아침에 이 사진을 보내왔다. 사진이 아니라 동영상이다. 내가 마누라가 그 방면에 백치인 걸 떠올리며 "그럴리가 없다. 할머니들이 이걸 만들었냐?"고 물었더니 자기들이 만들었다고 했다. 어쨌든 화사한 이 사진을 보고 있노라니 문득 화양연화(花樣年華)라는 말이 떠오른다. 마누라는 용평땅 맑은 가을하늘 아래, 거기서 화양연화의 한 때를 보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화양연화 2024. 9. 24.